[예체능] 음악교육과 - 음악교사가 되려면 음대 VS 음악교육과 무엇이 좋을까요? |
---|
![]() ![]() 음악 교사를 꿈꾸며 플룻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고3입니다. 주변에 많은 분들께 질문해봤지만 그럴수록 고민만 더 깊어져서 질문 남겨요! 음악교육과를 진학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음대 진학 후 대학원 진학이 좋을지 여쭤보고 싶어요. 음악교육과를 가고 싶은 마음이 조금 더 크긴 하지만 관악기군은 음악교육과에서 많이 선발하지 않아서 고민하고 있어요. 그리고 그 이후 음악교육과와 음악과에서의 전공 수업은 어떤 수업이 있는지 궁금해요! ![]() ![]() 서면으로는 이에 대한 답변을 들을 수 없으니, 제가 우선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① 연주하는 연주자로 활동하며 플루티스트가 되고싶다.
② 연주자보다는 음악을 통해 아이들을 가르치는 음악 선생님이 되고싶다.
![]() 본인이 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정한 후 입시에 돌입하는 것이 훨씬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. ![]() 비슷하지만 완전하게 다른 과이고 입시와 준비 방법에도 차이가 있기에 본인이 어떤 진로를 원하는지 정확히 결정하면 할수록 좋을 것입니다. 음악교육과 진학 ![]() 진로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합치고 싶어 음악을 곁에 두되,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을 중점으로 배우는 과이며 이 과를 나온 학생들의 대부분이 음악 교사가 되고자 합니다. ![]() 적나라하게 말하자면 ‘연주자(Player)로 활동하는 것은 포기하겠다’라는 뜻과 다름이 없습니다.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본인이 플롯 연주를 즐기는 것인지, 플롯을 포함한 음악의 전반적인 부분을 누군가에게 가르치는 것을 즐기는 것인지 확실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. 음대 졸업 후 교육대학원 진학 ![]() 음대를 가서 기악과를 나온다면 언제든지 음악 교사로 방향을 틀 수도 있고, 또 전공을 살려 연주자로 활동할 수 있다는 2갈래(또는 그 이상)의 길이 펼쳐지는 것입니다. 하지만, 음악교육과를 전공한다면 연주자로 활동하기에는 명확한 한계 지점이 있습니다. ![]() 글쓴이도 아는 것처럼 음악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3년이라는 시간을 추가로 보내야 합니다. ![]() 연주자로 활동하고 싶어 이화여자대학교 기악과 바이올린 전공으로 진학했으나, 학부를 졸업한 이후 음악 교사가 되고 싶어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입학했다고 합니다. 대학원을 다니며 대학원생의 신분으로 교생 실습을 병행한 것이고요. ![]() 글쓴이님의 적성과 또 앞으로의 비전, 그리고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하는 일의 경계를 잘 파악하여 본인에게 더 잘 맞는 학과를 선택하길 바랍니다. 진심을 다해 응원합니다. |
![]() |